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면무호흡증 진단, 양압기치료, 보조장치

by 구름120 2025. 8. 11.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수면장애가 아니라 전신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의학적 질환입니다.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면서 뇌와 신체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혈관 질환,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기억력 감퇴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문의의 임상 경험과 최신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면무호흡증 치료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각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과 주의점을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수면무호흡증 관련 사진

수면무호흡증 진단과 초기 평가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첫 단계는 ‘정확한 진단’입니다. 진단이 부정확하면 치료 방법이 잘못 선택되어 효과가 떨어지거나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파악과 병력 청취
환자가 호소하는 대표 증상에는 심한 코골이, 수면 중 호흡 정지, 아침 두통, 낮 시간 졸림, 집중력 저하, 짜증 증가, 성기능 저하 등이 있습니다. 배우자나 가족이 호흡이 멈추는 모습을 목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환자 본인은 증상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낮에 졸려서 운전 중 졸음운전 사고를 낸 뒤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체검사와 위험인자 평가
의사는 비만 여부(BMI 25 이상이면 위험 증가), 목 둘레(남성 43cm 이상, 여성 38cm 이상이면 위험 증가), 편도 크기, 혀 크기, 비강 구조 이상 여부를 평가합니다. 비강이 좁거나 코막힘이 심하면 기도 저항이 증가해 무호흡이 악화됩니다.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이 검사는 수면무호흡증 진단의 ‘골드 스탠다드’입니다. 밤새 센서를 부착하고 뇌파(EEG), 심전도(ECG), 근전도(EMG), 산소포화도(SpO₂), 호흡 흐름, 가슴·복부 움직임 등을 측정합니다. 검사 결과 산출되는 무호흡저호흡지수(AHI)는 시간당 무호흡·저호흡 횟수를 나타냅니다. AHI 5~14: 경도, 15~29: 중등도, 30 이상: 중증으로 분류됩니다.

초기 치료 계획 수립
진단 후, 의사는 환자의 체중, 직업, 수면 습관, 동반 질환(고혈압, 심장질환, 당뇨 등)을 종합 고려해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웁니다. 초기에는 생활습관 교정과 CPAP 체험을 권장하며, 심각한 구조적 문제나 기도 폐쇄가 예상되면 수술적 접근을 논의합니다.

비수술적 치료: 생활습관 교정과 양압기(CPAP) 치료

비수술적 치료는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1차 선택입니다. 그중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즉 양압기 치료는 중등도 이상 환자에서 ‘표준 치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CPAP 치료 원리와 효과
CPAP는 환자가 잘 때 코나 입, 또는 둘 다 덮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기도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불어넣어 기도가 무너지지 않도록 유지합니다. 여러 임상 연구에서 CPAP 사용 시 AHI가 평균 70~90% 감소하고 낮 시간 졸림, 혈압, 삶의 질 등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특히 고혈압·심혈관계 질환을 동반한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건 위험을 줄이는 데 유의한 효과가 확인됩니다.

CPAP 적응 문제와 해결책
환자 중 약 30~40%는 초기 적응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대표적인 불편은 마스크 압박감, 피부 발진, 건조감, 이물감, 기계 소음 등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권장합니다. 마스크 타입(코마스크, 풀페이스, 코쿠션 등) 변경 및 맞춤형 착용법 교육, 가습기 장착으로 건조 증상 완화, ‘램프 모드’로 서서히 압력 상승하도록 설정, 마스크와 헤드기어의 크기·위치 조정으로 누르는 부위 분산, 정기 추적 검사로 적응 상태와 유효성 확인 등이 있습니다.

생활습관 교정
체중 감량: 특히 목 주위 지방 감소가 기도 개선에 유리합니다. 5~10% 체중 감량만으로도 증상 개선 사례가 보고됩니다. 음주·흡연 절제: 음주는 수면 중 기도 근육 이완을 촉진하고, 흡연은 점막 부종을 유발해 무호흡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수면자세 교정: 옆으로 눕기, 반듯이 눕지 않기 등의 자세 교정 기구(포지셔닝 베개, 등 뒤에 공 넣기 등)로 수면무호흡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코 질환 치료: 비염·축농증 등으로 코막힘이 있는 경우 비강 치료를 병행해야 CPAP 적응성과 효과가 향상됩니다.

약물 치료 보조적 사용
현재 직접적으로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는 약물은 제한적이나, 비강 스테로이드(비염 개선), 수면의 질 개선 약제, 금연·체중감량 보조제 등은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약물의 보조 효과가 논의되었으나 표준 치료로 권고되지는 않습니다.

수술적 치료와 보조 장치 활용

비수술적 치료에 실패하거나 해부학적 구조가 주요 원인인 경우 수술적 치료와 보조장치를 고려합니다. 수술은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특징과 무호흡의 위치를 정확히 평가한 뒤 선택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수술법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UPPP): 구개수·연구개·편도 일부를 제거해 상기도를 확장하는 방법. 경·중등도 환자에서 코골이 완화에 효과적이나, 무호흡 지수(AHI) 개선은 개인차가 큽니다. 상·하악 전진술(MMA): 상악과 하악뼈를 전진시켜 전반적인 기도 공간을 늘리는 방법으로, 중증 환자에서 높은 성공률을 보입니다. 설근부 절제술 및 설골 관련 수술: 혀 뿌리(설근부)가 큰 환자에 대한 공간 확보 수술. 비중격교정술·하비갑개 절제술: 비강 구조 이상이 기도 저항을 유발하는 경우 적용.

보조 장치
구강내 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치과에서 맞춤 제작하며, 아래턱을 전진시켜 혀와 연조직이 기도를 막지 않도록 합니다. 경·중등도 환자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고하며, CPAP를 견딜 수 없는 환자 대안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하이포글로설 신경 자극기(Hypoglossal Nerve Stimulator): 수면 중 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신경을 전기 자극하여 기도 폐쇄를 예방합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환자에서 좋은 결과를 보입니다.

수술 전 평가 및 수술 후 관리
수술 전에는 내시경, 영상검사(CT 또는 MRI), 수면내시경(nDISE) 등으로 어떤 부위가 폐쇄를 일으키는지 정확히 평가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 감염 예방, 발성·삼킴 문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체중 관리·생활습관 개선·정기 추적 검사를 병행해야 재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를 통해 상당 부분 개선 가능한 질환입니다. 치료 과정은 일반적으로 증상 평가 → 정밀검사(수면다원검사) → 생활습관 교정 → CPAP 적용(또는 구강장치) → 필요 시 수술적 치료 순으로 진행됩니다. 중요한 점은 단회 치료가 아니라 장기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CPAP를 중단하거나 수술 후 관리를 소홀히 하면 증상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환자와 의료진 간의 꾸준한 소통과 정기적 추적검사가 필수입니다. 증상이 의심되면 전문의 상담과 검사로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길 권합니다.